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
개새닷컴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개새닷컴

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

개새닷컴

IT 지식 창고, Windows, Linux, Software, Hardware, Development

MagicLine4NX 삭제 방법

  • 2023.04.12 13:11
  • 보안
반응형

드림시큐리티 에서 개발한 공동인증서 프로그램 MagicLine4NX 을 통해 원격코드 실행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해당 이슈는 현재 패치되었지만 아직 패치하지 않은 사용자들도 많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데 프로세스가 상주하는 문제 때문에 컴퓨터 성능에도 영향을 주니 지우는것을 추천드립니다.

어차피 필요하면 그때 다시 설치하라고 뜹니다.

 

  매직라인4NX 삭제하기

1. 윈도우 키 + R 키를 눌러 실행창을 띄워줍시다.

 

2. 실행창이 뜨면 appwiz.cpl 을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줍시다.

 

3. 프로그램 및 기능 창이 뜨면 아래로 내려서 MagicLine4NX를 찾아줍시다.

 

4. MagicLine4NX 를 찾으셨다면 클릭하고 상단 제거/변경 버튼을 눌러줍시다.

프로그램명은 MagicLine4NX 게시자는 Dreamsecurity, Inc. 입니다.

 

제껀 버전 1.0.0.20 버전이네요.

현재 보안 패치된 버전은 1.0.0.27 이상입니다.

 

5. 제거/변경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이 그냥 아무 메시지 안뜨고 바로 지워져버립니다. (쿨하네요)

 

6.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삭제되었는지 확인하고 프로그램 및 기능 창을 닫아줍시다.

 

7. 다시 윈도우 키 + R키를 눌러 실행창을 띄워줍시다.

 

8. 실행창이 뜨면 certmgr.msc 를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줍시다.

 

9. 인증서 - 현재사용자 창이 뜨면 신뢰할 수 있는 루트 인증 기관 폴더로 들어가줍시다.

 

10. 신뢰할 수 있는 루트 인증 기관 폴더로 들어가면 인증서 폴더가 보이실건데 인증서 폴더로 들어가줍시다.

 

11. 인증서 리스트가 보이시면 아래로 내리면서 발급자가 Dreamsecurity인 인증서를 찾아줍시다.

 

12. 저는 발급자가 Dreamsecurity 인 인증서는 1개 밖에 없네요.

여러 개라면 모두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13. Dreamsecurity ROOT CA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하면 삭제 버튼이 보이실 겁니다.

삭제 버튼을 눌러줍시다.

 

14. 인증서 삭제 창이 뜹니다.

이건 글로벌 표준 인증서가 아니라서 지워도 무방합니다.

예를 눌러주세요.

 

15. 인증서가 정상적으로 삭제되었습니다.

 

 

반응형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새창열림)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ISAFE CrossWeb EX V3 삭제 방법  (0) 2023.03.31
Log4j JMSAppender 취약점 조치 방법(Log4j 1.x버전대 이슈)  (2) 2021.12.17
Log4j 이슈 Log4Shell 패치된 Core 파일, JNDILookup.class 파일 삭제  (9) 2021.12.13

댓글

이 글 공유하기

  • 구독하기

    구독하기

  • 카카오톡

    카카오톡

  • 라인

    라인

  • 트위터

    트위터

  • Facebook

    Facebook

  • 카카오스토리

    카카오스토리

  • 밴드

    밴드

  •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 Pocket

    Pocket

  • Evernote

    Evernote

다른 글

  • INISAFE CrossWeb EX V3 삭제 방법

    INISAFE CrossWeb EX V3 삭제 방법

    2023.03.31
  • Log4j JMSAppender 취약점 조치 방법(Log4j 1.x버전대 이슈)

    Log4j JMSAppender 취약점 조치 방법(Log4j 1.x버전대 이슈)

    2021.12.17
  • Log4j 이슈 Log4Shell 패치된 Core 파일, JNDILookup.class 파일 삭제

    Log4j 이슈 Log4Shell 패치된 Core 파일, JNDILookup.class 파일 삭제

    2021.12.13
다른 글 더 둘러보기

정보

개새닷컴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

개새닷컴

  • 개새닷컴의 첫 페이지로 이동

검색

메뉴

  • 홈
  • 공지사항
  • 모든 글 보기

카테고리

  • 모든 글 보기 (235)
    • 운영체제 (75)
      • 윈도우11 (7)
      • 윈도우 (51)
      • 윈도우 서버 (5)
      • 리눅스 (12)
    • 가상화 (17)
      • VMWARE (9)
      • HYPER-V (6)
      • VirtualBox (2)
    • 네트워크 (16)
    • 소프트웨어 (69)
      • 사용법 (19)
      • 다운로드 (50)
    • 하드웨어 (1)
      • 리뷰 (1)
      • 조립기 (0)
    • 게임 (14)
      • 마인크래프트 (3)
    • 오피스 (1)
      • 엑셀 (1)
    • 보안 (4)
    • 개발 (4)
    • 사이트 (5)
    • 직박구리 (20)
    • 광고 (9)
      • 무료광고 (9)
      • 유료광고 (0)

최근 글

인기 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태그

  • windows10
  • 코인고스트
  • COGOSCHOOL
  • NFT거래
  • Coinghost
  • 윈도우10
  • 코고스쿨
  • 하이퍼바이저

나의 외부 링크

  • 인터넷, 세상과 소통하다.

정보

김루노의 개새닷컴

개새닷컴

김루노

블로그 구독하기

  • 구독하기
  • 네이버 이웃 맺기
  • RSS 피드

방문자

  • 전체 방문자
  • 오늘
  • 어제

티스토리

  • 티스토리 홈
  • 이 블로그 관리하기
  • 글쓰기
Powered by Tistory / Kakao. © 김루노. Designed by Fraccino.

티스토리툴바